Categories
스포츠 용어

용어-클라임익스트림출처

Abseil    하강    압자일. 로프 타고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 오기. 미국에서는 러펠링(rappelling)이라고 함. 예를 들어 8자 하강기 같은  장비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빌레이 장비도 이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
Adze    애즈    아이스 액스 (ice axe) 머리 끝의 평평한 부분으로서, 얼음과 눈을 깎아낼 때 쓰임. 아이스 액스 Ice Axe) 참조.

Aider    에이더    인공 등반용 사다리. 인공 등반을 위해 웨빙으로 만든 사다리. 이 말은 에트리에(etrier)라는 프랑스 단어의 정확한 철자를 모르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
Aid Climbing    에이드 클라이밍    인공 등반. 고정된 확보물이나 설치한 확보물을 이용하면서 (확보용 뿐 아니라 등반 용으로) 바위 위로 올라가기. 미국에서는 6 급 (Class VI) 등반이라고도 함.
Alcove    앨코브    사방이 모두 수직 바위로 둘러싸인 빌레이 보기 좋은 선반 모양의 바위 턱.
Anchor    앵커    크랙 속에 튼튼히 고정시켜 놓은 확보물
Arete    어레이트    비교적 아래 위로 좁고 길게 이어진  바위 모서리. 우리나라에서 ‘칸테’라고도 함.

Ascenders    어센더    로프를 올라갈 때 쓰는 주마 (Jumar) 등의 기계적적인 장비.

Autoblock    오토불럭    프루식 매듭과 (Prusik) 비슷하나, 하중을 받은 다음에도 움직일 수 있는 매듭. 클렘하이스트 (Kleimheist) 또는 프렌치 프루식이라고도 부름 (“French Prusik).

Bachman    바흐만     로프를 잡아주기 쓰이는 고리 모양의 코드로 만드는 매듭. 오토블럭과 (autoblock) 비슷하나, 카라비너의 (carabiner) 등뼈 주위를 지나간다는 점만 다르다. 대개 하강 시 백업을 위해 쓰인다.
Bail    후퇴    등반을 포기하기.
Barn Door    바안 도어    몸 어느 한쪽의 발 홀드와 손 혿드를 쓰지 못하여, 등반자의 몸이  헛간 문짝처럼 빙 도는 것.
Base Camp    베이스 캠프    큰 산 오를 때 (또는 동일 지역 내의 여러 개의 산의 오를 때)  가장 낮은 곳에 있고, 제일 규모가 큰 고정 캠프.
Beached Whale    비치드 훼일    바위 턱 위로 몸을 반쯤  끌어올린 다음, 확보자가 보는 앞에서 다리를 꿈틀꿈틀 하며 몸을 완전히 뒤집는, 우아하지 못한 행위.
Belay    빌레이    등반자 확보. 빌레이 시스템을 통해 든든하게 로프를 잡아주어 클라이머의 등반을 도와주는 행위.
Belay Device    빌레이 장비    등반자와 확보자가 모두 하니스 (Harness) 차고 있고, 등반자의 하니스에 로프가 매어 있는 경우, 어떤 식으로든 확보자가 (가령, 트랑고 튜브 등으로) 로프 끝을 잡고 있어야 하는데, 빌레이 장비를 그 때 사용한다.  선등자를 위해 그리고 톱 로핑을 위해 흔히 스틱 플레이트나 (Sticht Plate) 튜브형 확보기가 사용된다. 그리그리도 쓰일 수 있다. 그리그리는 자동으로 잠기며 더 값이 비싸다.

Beta    루트 정보    베이터. 등반 루트에 관한 자세한 정보. 대개 동작 순서나 써야 할 장비에 관한 정보이나, 그밖의 어떤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Bicycle     자전거 동작     바이시클 무브. 발로 밀고, 당기는 동작.페달이라고도 함 (pedal).

Big Wall    거벽     매우 길고 힘들게 이어져서, 대개 며칠이 소요되는 등반 루트 유형.
Biner    비너    카라비너의 준말 (Carabiner).
Bivi    비비    비박의 준말. 비박 (Bivouac) 참조
Bivouac    비박    줄여서 ‘비비’라고  함 (Bivi). 루트 도중의 불편한 잠자리.
Bolt    볼트    확장 볼트는 영구적인 앵커다. 바위 면에 구멍을 파고 볼트와 행어를 끼워 설치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볼트 박기가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기존 루트에 볼트가 박혀 있다.

Bomber    바머    대단히 큰 손 홀드 또는 절대 안전한 확보물 설치 (bomproof)
Bombproof    밤프루프    등반자를 보호해주는 앵커가 든든하고 믿을만할 때를 말함.
Bootie    부티     앞서 등반한 팀이 루트에 남겨 놓은 (너트, 캐밍 자비 등의) 장비
Boulder    보울더    땅 위에  누워있거나 흙 속에 박혀 있는  크고 둥그스럼한 큰 바위덩이.
Bouldering    보울더링    확보해주는 로프를 안 쓰고 오르는 암벽 등반의 한 분야. 주로  보울더에서 (boulder) 대단히 어려운 동작을 등반함. 뛰어내려도 안전한 높이에서 대개 함. 추락 시 충격을 완화해주는 크래쉬 패드를 씀 (crash pad).

Bounce    바운스    굉장히 높은 곳에서부터 바닥에 쾅 충돌하기. 대개 치명적.
Bowline    보우라인     클라이머의 하니스에 등반 로프를 묶어매는 매듭 (“tie-in”) 중의 한가지. 풀기는 8자보다 (figure eight) 쉬우나, 단점도 있다.

Brain Bucket    브레인 버킷    헬멧 참조 (Helmet).
Bridging    브릿징     침니(chimeny) 또는 책 펼쳐 놓은 것 같은 오픈 북(open book 코너’의 두 벽에 발을 벌려 체중을 지탱하기.

Bucket    버킷    커다란 손 홀드.
Buildering    빌더링    빌딩 위로 등반하기.
Bumblie    범블리    초보 클라이머.
Bumper Belay    범퍼 빌레이    자기 차로 안전하고 든든하게 빌레이 보기. 바위  밑까지, 또는 바위 주변 가까이, 또는 하강 앵커 가까이까지  포장 도로가 깔려 있는 암벽에서 주로 행해짐.
Butterfly    버터플라이    빙하를 지나거나 로프의 손상된 부분을 피해서 로프 중간에서 등반하는 사람을 (middle man) 로프로 묶어매기 위해 쓰이는 매듭.

Buttress    버트리스     산의 가장 중요한 면 앞에 서 있는 그 산의 일부나 바위의 일부.
Caming Device    캐밍 장비    확보물로 쓰이는 캠. 프렌드, 캐머롯 등의 캐밍 장비.  매우 비쌀 수 있으나 그만한 가치가 있는 등반 장비. 방아쇠가 달려 있어 크랙 속에  맞게 확장시킬 수 있고, 회수할 때는 수축한다.

Campus    캠퍼스    팔만 쓰면서 하는 다이나믹한 등반 동작. 볼프강 귈리히에 의해 창안되었다. 전문적인 트레이닝 장치인 캠퍼스 보드에서 (campus board) 유래된 용어.
Carabiner    카라비너     카라비너는 (biner) 스프링 식으로 철컥 하고 여닫히는 매우 강한 연결고리이며 (snap link), 앵커에 로프를 연결할 때, 확보기를 확보자에게 연결할 때, 그리고 그밖의 여러 가지 일에 쓰인다. 대체로 D형 비너가가장 강하다. 개페구는 세 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인) 직선형과 (straight) (로프를 클립하기 쉬운) 곡선형 (bent), 그리고 (하니스에 걸 때와 다른 중요한 경우에 쓰이는) 잠금형이 있다.
Chalk    초크     클라이머의 손에서 땀을 제거해주는 신기한 가루. 초크백에 넣음.
Chalkbag    초크백

하니스(harness) 뒤쪽에 매다는 초크 가루 담는 주머니로서, 클라이머들이 손에 땀이 날 때 씀.

Cheese Grater    치즈 그레이터    무릎과 손과 얼굴을 긁히며 슬랩 위로 미끄러져 내려오기.
Chickenhead    치큰헤드     손 홀드나 발 홀드로 쓰기 좋게 튀어나와 있는 바위. (horn 참조).
Chimney    침니     클라미어의몸의 대부분을 넣을 수 있는 넓은 크랙.

Chipping    치핑     자연 바위 표면에 정이나 해머를 써서 바위를 깨트려 홀드를 만들어내는 것. 바위 모양을 바꾸지 않고는 그 루트를 오를 능력이 없는 평균 이하의 지능지수를 가진 근시안적인 클라이머가 대개 이런 짓을 함.
Chock    초크     수동적인 확보물 종류의 통칭. 너트, 스토퍼, 와이어, 록 등으로도 불림.
Chockstone    초크스톤     쐐기돌. 크랙이나 침니 사이에 박혀 있는 돌.

Choss    초쓰    Bad rock. 불량한 바위.
Chute    슈트    경사가 급한 협곡(gully) (슈트는 프랑스어로 “추락”이라는 말이며 그런 협곡에서 흔히 보는 낙석을 가리킴.)
Cirque    써크      주로 계곡이 뭉툭하게 끝나는 곳에서 형성되는 산 속의 분지이며 가파른 벽으로 둘러 쌓여져 있음.

Clean    클린     추락이나 매달리는 일 없이 등반하기.
Climb When Ready!!    클라임 휀 레디!    확보자가 등반자에게 등반하기 시작해도 된다고 나타내기 위해 외치는 신호 (영국식).
Climbing!    클라이밍!    등반자가 확보자에게 등반을 시작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외치는 신호.
Clip    클립     로프를 (확보물에 걸어 놓은) 카라비너에 넣는, 마음이 편안해지는  행위.
Clove Hitch    클로브 히치    대개 카라비너에 로프를 묶어 맬 때 쓰는, 조정하기 쉽고, 쓸모가 많은 등반용 매듭.)

Cold Shut    콜드셧    스포츠 클라이밍 루트의 끝나는 지점의 앵커에 사용되는 큰 고리. 이것에만 의지하여 추락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내려지는 용도로만 쓰여야 하며, 반드시 한 쌍으로 (반드시 25 cm 거리를 두고) 사용되어야 한다.

Cord     코드    직경 5 ~ 6 mm의 가느다란 로프
Cordelette    코드렛    불어.길이  직경 6-8mm 보조자일(cord) 5 미터 정도를 링벤드 (Ring Bend) 또는 다블 피셔맨 매듭으로 (Double Fisherman’s) 묶어 만든 고리.  여러 개(2~3개)의 확보물에 동시에 연결하여 하중을 균등 배분할 때 사용.
Corrie    코리    Cirque 참조. 스코트랜드에서는 Coire, 웨일즈에서는 Coombe 또는 Cwm을 씀.
Couloir     클와르    눈 또는 얼음이 쌓인 경사가 급한 협곡 (Gully).
Counter Balance    카운터 밸런스    클라이머가 취하려는 동작의 반대쪽으로 몸의 일부를 보내서(주로 다리를 뻗어서) 몸의 균형을 잡는 기술
Crab    크랩    Short for Carabiner. 카라비너의 준말.
Crag    크랙    (작은) 등반지.
Crampons    크램폰    빙하 위를 걷거나 얼음을 등반할 때 신는, 매우 끝이 뾰족한 장비.

Crank    크랭크    완전히 힘 빠질 때까지 홀드를 당기는 것. .
Crash Pad        휴대용 매트. 보울더  (Boulder) 밑에 보울더러의 (Boulderer)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락할만 곳에 놓는다. 통상 3 인치 이상의 두께이며, 접는 구조로 되어 있다. Bouldering Pad라고도 함.
Crest    크레스트    능선이나 어레이트의 정상 부위.
Crater    크레이터    추락하여 바닥을 치는 것. 그 충격으로 구멍이 생기는데서 유래됨.
Crevasse    크레바스    빙하지대의 깊게 갈라진 틈.
Crimper    크림퍼     손가락 끝만 겨우 걸리는 작은 홀드.

Crozley    크로즐리     흙이 묻어 있고, 영 느낌이 안 좋은 홀드.
Cross-through    크로스스루    손 또는 발을 반대편  손과 발을 가로 질러 뻗는 것.

Crux    크럭스     등반 루트의 가장 어려운 부분.
Cwm    쿰    Corrie, Cirque 참조. 스코트랜드에서는 Coire, 웨일즈에서는 Coombe 또는 Cwm을 씀.

Daisy Chain    데이지 체인    웨빙을 박아서 만든 확보용 슬링이며, 슬링에 연속적으로 고리가 있어서 여러 곳에 클립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주로 빌레이 앵커 또는 인공 등반에서 사용.
Deadman    데드맨    눈 속에 깊이 박아 넣어, 앵커로 사용하는 금속 판.
Deadpoint    데드포인트    동작의 최정점에서 다음 홀드를 잡는 다이나믹한 동작 (위로 몸을 ‘런지’하는 경우, 다시 떨어지기 직전 시점). 데드포인트에서 홀드를 잡음으로써, 그 홀드에 최저한의 하중이 실리게 된다.
Deck    덱    선등자가 지면에 충돌하거나 빌레이 보는 바위 턱에 충동하게 하는 추락. 그러나 조금이라도 괜찮은 느낌이 있으면, 추락계수 2의 추락은 아니다.
Descender    하강기    디센더. 하강(rappeling)을 위해 쓰이는 장비.
Dihedral    다이히드럴
책을 반쯤 펼친 것과 같 모양을 이루고 있는 두 벽의 안족 코너. 어레이트의 (arete) 반대.스테밍 (Stemming) 기술이 효과적. Open Book 이라고도 함.

Direct Belay     직접 확보
확보기를 확보자의 벨트에 (하네스, Harness) 걸지 않고, 고정확보물에 직접 걸어 빌레이 보는 것.

Dirt Me!    더트 미!    톱 로프 등반하다가 완등하거나 포기한 후 “내려주라”는 말을 멋지게 하는 표현. “Lower me!”와 같은 뜻.
Dog    독    좀 더 높은 곳까지 제대로 오를 때까지, 등반하다가 내려졌다가 다시 등반하곤 하는 것. 행도깅의 (hangdogging) 준말.
Double Back    다블백    좀더 안전을 기하기 위해 하니스 버클을 되돌려 끼우기는 행위.
Double Fisherman’s    다블 피셔맨 매듭     로프 두 동은 연결하기 위해 또는 슬링으로 쓰기 위해  코드 끝을 묶는 방법 중의 하나.

Downclimbing    다운클라이밍    하향 등반. 확보자에 의해 내려지거나 하강하는 대신,   차례로 홀드 하나씩 잡고 등반하며 내려 오는 행위.
Drive-By    드라이브-바이     어느팔을 다른 팔 위로 엇갈려 뻗어 동작이며, 대개 다이나믹 하게 동작함.

Drop-knee    드롭 니    한쪽 다리의 무릎을 굽혀서 몸 안쪽으로, 심할 경우에는 아래를 향하고 비트는 자세. 오버행에서 엉덩이와 몸통이 벽에 붙도록 해주며, 스테밍 효과가 있어서 손에 실리는 부담을 줄여줌.

Dry tool    드라이툴링    믹스드 클라이밍에서 (mixed climbing) 흔히 쓰는 기술로서, 빙벽장비로 바위 구간을 오르는 것.
Dude    두드    미국에서 클라이머를 부를 때 쓰는 말.
Dyno    다이노    (멀리 있는) 다음 홀드를 향해 다이나믹하게 몸을 날리는 동작. 다이나믹 런지.  다이나믹 무브먼트의 준말.

Edging    엣징    암벽화의 가장자리를 (edge) 써서 작은 발 홀드 위에 서는 발 기술.

Elvis    엘비스    다리가 너무 피로하여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흔들리는 클라이머를 묘사할 때 쓰임.
Epic    에픽    잊지 못할 사건. 클라이머는 갑자기 어려운 상황을 만나는 경우가 있어, 어쩔 수 없이 벽에서 밤을 보내기도하고, 보통 때보다 훨씬 고생하기도 하고, 장비를 잃기도 하고, 루트를 벗어나기도 하고, 사고나 불운한 일을 겪는 경우가 있다.그  전형적인 예는, 날은 어두워지고 폭풍우가 다가오는데 벽에서 오도가도 못하게 되는 경우다. 그러나 어떤 후등자는 회수해야 할 장비가 꼼작 안하는 바람에 ‘에픽’을 겪었다고 주장할 것이다. 안전한 ‘에픽’은 그 등반의 모험성을 높여준다. 심각한 ‘에픽’은 결국 병원에 가게 만든다.
Exposure    노출    마지막 확보불 위로 한참 나아간 상태. 지면에서 매우 높은 높은 곳까지 올라온 것, 또는 오지에 있음을 갑자기 느끼는 것.
Face Climbing    페이스 등반    주로 손가락 포켓 홀드나 얇은 엣지로 이루어진 바위를 오르는 것.
Fall!    추락!    일명 “프리 솔로 하강’. 등반 루트에서의 다이나믹한 후퇴. 주의 사항: 죽게 만드는 것은 추락 자체가 아니라 마지막의 갑작스런 정지다.
Fall Factor    추락 계수    추락 거리를 풀어준 로프의 길이로 나눈 수치.
Fifi Hook    피피 고리    피피 고리는 클라이머의 하니스에 걸고, 어떤 확보물에 일시적으로 걸거나 비상 시 사용하는 수단이다.
Figure Eight    8자형 매듭    사람들이 많이 쓰고  든든한, 하니스에 묶어매는 (tie-in) 매듭. 클라이머는 이 매듭을 써서  하니스에 직접 “타이인”해야 하며, 그냥 카라비너에 묶어매면 안된다. 드물기는 하나, 비너는 열리는 경우가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Figure-4    피겨 4 동작    팔이 먼 곳까지 도달하기 위해 한쪽 팔 위에 반대편 다리를 얹고 몸을 끌어 올려 위에 있는 홀드를 잡는 동작.

Figure-8    8자형 하강기    8자형 하강기는 주로 하강 (rappeling ) 시 쓰이며, 곤경에 처했을 때는 빌레이 장비로도 (belay device) 쓰인다.

Finger Hold    핑거 홀드    겨우 손가락 두 세개 만 지탱할 수 있는 크기의 홀드.
Fingerlock    핑거록    크랙 속에 손가락을 비틀어 쐐기처럼 끼우는 고통스러운 테크닉.

Fish Dance    피쉬 댄스     추락 후 자세를 다시 바로 취하려는 시도.
Fist Jam    주먹 잼     피스트 잼. “Hand Jam” 참조.

Fixed Pro    고정 확보물     볼트와 링과 피톤과 고정되어 버린 너트와 캐밍 장비 그리고 등반 뤁에서 볼 수 있는 그밖의 회수 불가능한 확보물. 조심해서 써야 한다.
Flagging    플래깅    몸 중심이 흩트려지지 않도록, 한쪽 다리를  다른 다리 뒤와 옆으로 벌려서 몸이 돌아감을 방지하는 동작. (특히 왼쪽 다리를 오른쪽으로 또는 그 반대.
Flail    플레일     매우 자신감이 없고 불안하게 되는 것. ‘플레일링’이 황급히 홀드를 잡는 지경까지 이르면, 추락이 임박한 것이다.
Flake    플레익    바위의 주 표면에서 들떠 있는 바위 박편. 반쯤 들떠 있는 바위 판은 그 열려 있는 가장자리를 따라 아주 좋은 홀드를 만들어준다. 벌어지고 있는 들뜬 바위 박편은은 너무 부실하게 바위에 붙어 있거나 너무 얇아, 그 박편을 당기거나 확보물을 박으려고 할 때 실제로 움직일 수 있다. 가령, 벌어지고 있는 바위 박편에 피톤을 때려박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 왜냐 하면 피톤 하나 때려 박으면 그 박편이 벌어지고 그 밑에 있는 피톤이 빠져나오고, 확보물의 효능을 줄이기 때문이다.
Flamed    플레임드    팔뚝이 후끈거려서 바위에 매달려 있지 못할 정도로 너무나 지쳤을 때를 말함.
Flapper    플래퍼    손이나 손가락의 피부가 떨어져 나갔으나, 아직 일부 피부 조직이 달려 있는 상태.
Flared    플레어드    두 면이 평행을 이루고 있지 않고, 두 개의 벌어져 있는 평면을 이루고 있는 크랙이나 침니(chimeney).
Flash    플래쉬    추락 없이 어느 등반 루트를 완등하기.
Foot Jam    풋 잼    발 재밍. 클라이머가 크랙 속에 발을 끼울 수 있는 홀드. 그립을 (grip) 더 좋게 하기 위해 때로는 발가락을 비틀거나 굽히기도 함. 발가락 잼이라고도 (toe jam) 함.

Free Climb    프리 클라임    자유 등반. 손과 발과 자연적인 홀드만을 쓰며 바위 위로 올라가기. 로프와 장비는 오직 확보를 위해서만 사용된다.
Free Solo    프리 솔로    단독 자유 등반. 로프나 확보물을 쓰지 않고 하는 자유 등반. 정말로 뛰어나나거 정말로 어리석은 사람들이 함. 떨어지면 죽고만다!
Friend    프렌드    와이드 칸트리 사에서 생산되는 캐밍 장비의 이름.
Garda Hitch    가르다 히치    카라비너 두 개로 만들어지는 매듭으로서, 로프가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한다.

Gardening    가드닝    루트 청소. 길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돌과 식물을 제거하기; 잔디나 풀을 뜯어내는 일에서부터 체인 톱을 갖고 오는 일까지 포함.
Gaston    가스통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크랙 벽면을 바깥쪽으로 벌리는 것 같은 동작. 엄지 손가락은 아래, 팔꿈치는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옆으로 당김. 가스똥 르버프가 이 동작으로 크랙을 올라갔다는 속설에서 유래된 말. (.
Gate    개폐구    게이트. 카라비너의 열리는 부분.
Gear Sling    기어 슬링    확보 장비 세트를 걸고 가는 슬링. 오히려 하니스의 장비 고리를 쓰기 좋아하는 클라이머도 있음.
Gerry Rail    게리 레일     나이많은 클라이머들도 족히 잡을 수 있을 정도로 큰 홀드.
Girth Hitch     거스 히치     라크스 풋 참조 (Lark’s Foot).

Green Point     그린 포인트     톱로프로 (top rope) 기존 루트를 자유 등반으로 완등하는 것이며 추락이나 매달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
Grigri    그리그리     페츨 사에서 만든 편리한 빌레이 장비. 등반가 갑자기 추락할 때 이 장비가 자동으로 잠긴다. 자동차 좌석 벨트와 비슷하게 작동함.

Gripped    그립드     두렵고 당황하여 마비된 상태.
Gumby    검비     어리석은 클라이머.
HACE    뇌부종    고소 뇌부종 (High Altitude Cerebral Edema). 대뇌 조직이 붓는, 가장 심각한 고산병이다. 기억 상실과 신체 조절 능력의 상실, 시력 장애, 마비와 발작 같은 증세가 생기며, 즉각적인 후송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Hand Jam    손 재밍

크랙이 큼직해서 손을 넣어 캐밍 장비처럼 손을 끼울 수 있는 홀드. ‘발 재밍’도 참조.

Handle    핸들     실내 암장에서 볼 수 있는 바나나처럼 생긴 큰 홀드. 매달려서 구경꾼들에게 인사하기 좋음. 버킷 (bucket) 참조.
Hang Dogging    행도깅     다음에 해야할 일련의 동작을 구상하거나 팔을 쉬어 주기 위해 로프에 매달려 있기.
Hanging Belay    행잉 빌레이     서있을만한 곳이 없는 가파른 바위 위의 불편한 빌레이 장소를 말함.
HAPE    폐수종    고소 폐수종 (High Altitude Pulmonary Edema).  폐에 액체가 많아지는 증세가 나타나는 고산병의 위험한 형태. 증세는 호흡 곤란, 피로, pink sputum, 그리고 심장 박동 증가 등이다. 낮은 고도로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Harness    하니스

안전 벨트. 장비 거는 고리가 달려 있는 것도 있고, 장비 고리 없이 “기어 슬링”을 쓰게 되어 있는 것도 있다.

Haul Bag    홀백     등반 장비와 식량과 연료를 운반하기 위해 쓰이는 백. 피그라고도 (pig) 함.
Head Lamp    헤드 램프     야간 등반과 어둠 속에서 취사 준비할 때의 필수품.

Headpoint    헤드포인트    레드포인트를 장난기 있게 표현한 말. 신체적인 도전보다는 정신적인 도전이 선등에 대해서 말하는 것임. 가령, 어떤 루트를 많이 톱 로핑 하여, 크럭스 동작이 완전히 입력되어서, 이제는 “헤드포인트”를 하고자 하는데, 이 때 가장 힘든 점은 확보물 위에 있다는 두려움이다.
Heel-hook     뒤꿈치 걸기     힐훅

Heinous    헤이너스     무섭고, 겁나고, 끔찍한; 극히 위험한 활동.
Helmet    헬멧     산에서 큰 바위덩이가 떨어지면, 헬멧의 용도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Hex    헥스     헥센트릭의 (hexentric) 준말. 비대칭 6각형으로 생긴 타입의 너트. 너트처럼 쐐기 박듯 쓰이기도 하지만, 또한 캐밍 (camming) 작용도 한다.

Horn    혼    뿔처럼 툭 튀어나온 커다란 홀드. 확보하기 위해 그 위에 슬링을 감아 놓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치큰헤드 (chickenhead) 참조.
Hueco    웨이코    바위의 움푹 꺼진 커다란 포켓. 그런 홀드가 많은 인기 등반지인 웨이코 탱크스에서 (Hueco Tanks) 유래된 말.
Ice Axe    아이스 액스     얼음이나 눈을 깎아내기 위해 아치 모양의 얇운 날을 가진 도구. 원래 애즈는 (adze) 나무를 다듬는데 쓰였으나, 등반에서는, 아이스 액스 헤드의 뒤에 달린, 깎아내기 위한 납작한 끌이 달려 있다.
Jam    재밍     몸의 일부를 크랙 속에 쐐기처럼 끼우기. 핸드 잼(Hand Jam) 풋 잼(Foot Jam) 참조
Jug    적    (주전자 손잡이처럼) 매우 커다란 홀드. 버킷 ( bucket ) 참조.
Karabiner    카라비너     카라비너의 원래 스펠링.
Kilonewton    킬로뉴턴     카라비너 등의 장비에 쓰여 있는 용어로서, 약 100 Kg의 강도를 의미한다.
Kleimheist    클렘하이스트     프루식 매듭과 비슷하며, 로프 잡아주는 매듭으로 쓰임. 오토블럭 또는 프렌치 프루식으로도 (Autoblock or French Prusik) 부름.

Knee-bar     니바     홀드 사이에 발과 무릎을 끼우고 고정시켜 체중을 버티는 테크닉. 두손 놓고 쉴 수도 있다.

Lark’s Foot    라크스 풋    거스 히치라고도 불리며, 슬링이나 코드 고리로 만들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매듭. 두 개의 슬링을 이런 식으로 연결하면 강도가 약해진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이 방식이 시스템을 약화시키는지 그리고 다른 대안이 과연 더 나은지에 관해서는 클라이머 간에도 논의가 분분하다.
Layback    레이백    외관상 별로 세련되게 보이지는 않는 동작으로서, 손 발이 반대로 움직이면서 올라가는 테크닉.

Lead Climber    선등자    선등 하는 클라이머.
Leading    선등    올라가면서 확보물을 설치하거나 확보물에 로프를 걸면서 밑에서 위로 루트를 오르기.
Lock    록    대단히 든든한 홀드로서, 손이나 발 또는 다리를 끼어 넣을 수 있는 크랙인 경우를 말함. 예, 핑거록.
Locking Biner    잠금 비너    잠글 수 있는 카라비너로서, 스크루게이트리고도 (Screwgate) 부름.
Lockoff    록어프    하나의 굽힌 팔로 바위에 매달려 있으면서 다른 손으로 다음 홀드를 찾고 있는 자세. “작은 바위 턱에서 ‘록어프’를 많이 했더니, 정말 심하게 펌핑이 왔어.”
Manky    맨키    마지막 빙하 시대 이전에 설치된 듯 보이는 고정 볼트를 묘사하는데 쓰이는 용어. 이런 볼트는 스스로 잘 가려서 써야 한다.
Mantle    맨틀    바위 턱 위로 올라서는데 유용한 동작으로서 어려운 밸런스 유지를 요한다.

Mariners    머리너    하중 받은 상태에서 풀어줄 수 있는 매듭. 구조 작업 시 사용되기도 함.

Mule    뮬    빌레이 앵커를 묶어매기 위해 오버핸드 매듭이나 먼터 매듭과  결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 매듭.

Mule-Muner

Multi Pitch Climb    멀티 피치 루트     피치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된 등반 루트.
Munge    먼지     To damage in an ugly manner. “Pulling your fist out of a crack tends to munge your hand badly.”

등반하다 보기 싫게 다치는 것.
Munter Hitch    먼터 히치     빌레이 장비 떨어트렸을 때 유용한 , 움직이는 매듭. 까베스땅 매듭이라고도 함

Neutered Kitty    “거세된 고양이”    초보자 또는 바닥창이 다 닳은 클라이머들이 흔히 하는 동작으로서, 든든한 손 홀드를 잡고 바위 면에서 암벽화가 자꾸 미끄러지는 것. 발이 그립을 (grip) 얻을 때까지 반복된다. 확보보는 사람이 보기에는 매우 재미가 있다.
Nubbin    너빈    홀드로 활용될 수 있는 아주 조금 튀어나온 바위로서, 수정 알갱이인 경우가 흔하다.
Nut Tool    너트 회수기    너트 툴. 꼭 끼인 너트나 캠을 회수하기 위해 쓰이는 금속으로 만든 도구.

Nuts    너트    금속으로 만들어진 쐐기 또는 너트처럼 보이는 확보물. 작은 것들은 RP 또는 와이어(wire)라고도 함.

Objective Dangers    객관적 위험    오브젝티브 데인저. 대개 클라이머가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밖에서 생기는 사건들로서 등반의 성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악천후, 갑자기 등반하다 벌집으로 들이닥치는 경우 등.
Off Belay    어프 빌레이     빌레이 해제. 온 빌레이의 (“On Belay”)의 반대.
Off Width    어프위드     재밍하기에는 너무 넓고, 침니하기에는 너무 작은 어중간한 크랙. 우리나라에서 반 침니라고도 함.
On Belay!    확보 준비 완료!    확보자가 등반자의 로프를 빌레이 시스템 속에 든든하게 고정했을 때 외치는 신호.
Onsight Flash    온사이트 플래쉬     아무 사전 정보도 (beta) 없고, 다른 사람의 등반을 본 적이 없이 처음로 하는 루트를 추락없이 완등하기.
Open Hand    오픈 핸드    손가락 관절(특히 두번째)을 많이 굽히지 않고 홀드를 쥐는 방법

Overhand    오버핸드 매듭     하강하기 위해 두 동의 로프를 연결할 때, 그리고 빌레이 앵커에 묶어 맬 때도 쓰이는 가장 간단한 매듭.

Overhang    오버행     등반 루트에서 오버행 각도를 이루고 있는 부분.
Party Ledge    파티 렛지     길로 어려운 등반 루트 도중에 클라이머들이 쉴 수 있는 커다란 선반 같은 바위.
Peel    필     바위에 붙어 있지 못하고 떨어지는 것.
Pendulum    펜듈럼    로프에서 스윙하는 것을 말하는데, 거벽에서 의도적으로 멀리 있는 앵커까지 가기 위해서 스윙하는 것 또는 의도적이 아니고, 트래버스 도중에 확보물을 충분히 설치하지 못하여, 추락하면서 몸이 옆으로 스윙하는 것을 말함.
Pig    피그    홀백의 (Haul Bag) 준말.
Pinch    핀치    집게로 잡듯 손가락으로 홀드를 쥐는 자세.

Pinkpoint    핑크포인트     확보물과 러너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등반 루트를 레드포인트 하기.
Pitch    피치     전에는 로프 한 동 길이였으나, 이제는 겨우 4 미터 정도 되는 정말 좋은 구간 또는 지저분하고 확보물을 제대로  설치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실한 60 미터의 거리가 될 수도 있다.
Piton    피톤     확보물 또는 앵커로 쓰려고 크랙 안에 때려박은 금속제 대못. 초기 클라이머의 주요 확보 수단이었으나, 이제는 더 이상 널리 쓰이지 않는다. 핀(pin)이라고 함.

Pocket    포켓

바위의 (작고) 오목하게 꺼진 형태의 홀드.

Pro    확보물    프로. protection의 주말. 바위 속에 설치된 피톤, 너트, 캠.
Protection    확보물    확보물. 너트나 헥스나 캐밍 장비처럼 바위 속의 크랙에 설치되어 추락 시 선등자를 보호하는 장비.
Prusik    프루직 또는    로프를 타고 오르기 위한 미끄러지는 매듭 또는 그 방법 (창안자인 Dr. Karl Prusik의 이름에서 유래됨.)

프루식

Pulley    도르래     로프를 부드럽게 움직이기 위한 또는 클라이머에게 역학적인 이점을 증가시켜주기 위해 쓰이는 기계적인 장비. 도르래를 주의깊게 결합해서 씀으로서 적은 힘으로 커다란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음.
Pumped    펌핑     손가락이 너무 피로하여 전완이 부풀어 오르는 것. 마치 풍선에 펌프질을 한 것처럼. 이렇게 되면 힘이 빠지게 된다.
Pumpfest    펌핑 잔치    대단히 힘든 루트 몇 개를 등반하기.
Pumping Plastic    펌핑 플라스틱      실내 암장의 연습용 벽을 등반하는 것.
Quickdraw    퀵드로     각기 길이가 다른 하나의 웨빙의 양쪽에 비너가 달려 있는 것이 퀵드로다. 선등 시 사용되는데, 벤트 게이트 비너에 로프가 클립되고, 스트레이트 게이트 비너는 앵커에 클립된다. 앵커는 대개 확장 볼트다

Rack    랙     등반 루트  위로 갖고 가는  한 묶음의 장비.
Rappel    하강     로프를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기. 압자일 (abseil) 참조.
Rating    등급    등반 루트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표시하는 숫자.
Reachy    리치     리치가 (reach) 긴 동작이 많은 루트를 묘사하는 말.
Redpoint    레드포인트     추락 또는 행도깅 없이 기존 루트를 성공적으로 선등하기.
Ring Bend    링 벤드    워너 놋 (water knot, 물 매듭) 참조.
Rock Rash    록 래쉬     바위에 쓸려서 난 상처의 총칭.
Rock!!    낙석, 낙빙     커다란 물체가 중력에 못 이겨 위에서 아래로 떨어짐을 밑에 있는 사람에게 경고해주기 위해 외치는 것. 고함의 ㅋ기, 외치는 횟수, 목소리에서 느껴지는 화급한 정도 등이 낙석의 심각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어디를 서 있든 맞을 확률을 같으나, 위를 쳐다보면 확률이 크게 증가한다.
Roof    루프     심한 오버행을 이루고 있는 등반 루트의 일부. 등반자의 자세가 거의 수평에 가깝게 됨.
Rope    로프      로프는 기본적인 등반 장비다. 올바른 로프의 선택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로프는 정적인 거도 있고 다이나믹한 것도 있다. 전자는 주로 실냄 암장에서 쓰이거나 톱 로프 루트에 고정시켜 놓고 쓰이고, 후자는 그 신축성 때문에 야외 등반에 쓰인다. 신축성이 있어 추락하는 클라이머의 충격을 완화해준다.
Rope Below!    낙자! 낙줄!     암벽 밑으로 로프를 던질 때 남들에게 경고하는 신호.
Rope Drag    로프 끌림    등반 시 확보물 또는 바위 표면에 로프가 마찰을 일으켜 로프가 등반자를 뒤로 잡아 당기는 것.
Rose Move    로즈 무브     어느 한 팔을 다른 팔 밑으로 엇갈려 뻗어 몸을 돌리는 동작.
Runner    러너     슬링과 (sling) 같음.
Runout    런 아웃     확보물에서 상당히 먼 거리에 있을 때를 말하며, 추락의 위험을 무릅써야 함.
Safe!    세이프!    등반자가 이제 안전하며 빌레이를 해제해도 좋음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신호.
샌드백    어느루트의 등급을 고의로 낮게 말하여, 그곳을 처음 찾은 클라이머를 골탕먹이는 비양심적인 행위.

Sandbag
Sauced    소스드     어느 루트를 등반하는 동작을 다 외우고 있을 때.
Screamer    스크리머      굉장히 긴 추락. “air time”이라고도 함.
Screwgate    스크루 게이트     잠글 수 있는 카라비너. 로킹 비너라고도 (Locking Biner)라고도 함.
Scuz    스크즈     무릎, 얼굴, 귀, 혀 등의 보통 때 닿지 않는 면을 쓰면서 하는 완전히 마찰력 위주의 동작.
Second    세컨     선등자 뒤를 따라 피치를 올라가고 등반하면서 확보물을 회수하는 클라이머.
Seconding     세컨딩     후등. 확보 받으며 선등자 뒤를 따라가는 행위. 선등이 아님.
Sewing Machine    소잉 머신    재봉틀. “엘비스”와 같은 용어로서, 등반 도중에 다리를 심하게 떠는 동작들 말함.
Sharp End    샤프 엔드     로프의 선등자 쪽 끝.
Shoes    암벽화

끈쩍끈적한 고무창이 달린 신으로서 발에 꼭 맞게 신음.

Side Pull    사이드풀     등반자 쪽을 향해 수평으로 (즉, 옆으로) 잡아 당겨야 하는 손 홀드.
Siege    포위 공격법     점진적으로 보다 높이 있는 일련의 캠프로 힘들게 올라가면서 장기간 산을 공략하는 것. 포위 공격법에는 산소 이용, 미리 땅속에 묻어둔 장비, 고소 포터를  통해 무거운 짐을 운반하기 등이 포함된다.
Simul-climb    동시 등반    산악 등반에서 자주 쓰이는 방법이나, 암벽 등반에서는 좀 쉬운 지형에서만 가끔 쓰임. 선등자와 후등자가 동시에 등반한다. 선등자는 보통 때와 같이 장비를 설치하고, 로프의 아래쪽 끝에 있는 후등자가 같은 페이스로 등반하면서 선등자가 설치한 확보물을 회수한다. 이 방법을 쓰면 ‘피치’ 등반 했을 때보다 더 빨리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위험은 더 크다. 후등자가 떨어지면 선등자까지 잡아 당겨지면서 추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등반을 더 잘하는 사람이 대개 후등자 역할을 한다. 부상 방지를 위해 두 사람 사이에 확보물이 충분히 설치되어야 한다. 두 명의 클라이머 모두 100% 추락하지 않을 자신이 있어야 한다. 매우 경험 많은 클라이머만 쓸 수 있는 방법이다.
Simul-rap    동시 하강    사이멀 랩. 한 동의 로프를 반으로 접어 두 가닥을 쓰거나 두 동의 로프를 연결하여 두 가닥으로 하강하지 않고, 두 사람이 각기 다른 가닥의 로프에 체중을 싣고 서로의 체중으로 상쇄하면서 하강하는 것이다. 이 고급 기술은 꼭대기에 고정 앵커가 없는, 홀로 서 있는 기둥 모양의 바위 같은 곳에서 하강할 때 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즉  한 사람은 북벽으로, 다른 사람은 남벽으로 하강하고 바닥에 내려갈 때까지 다른 사람이 미리 줄을 놓치 않기 만을 절실히 바라게 된다.  이 방법은 경험 많은 클라이머들만이 써야 한다.
Slab    슬랩     바닥이 밋밋하고 특징적인 홀드가 없어 보이는, 수직 각도 이하의 바위.
Slack    줄 늦춰!    슬랙. 등반자가 확보자에게 줄을 좀 늦추어 달라고 표시하기 이해 외치는 신호. 그 반대는 “Take Up”이다.
SLCDs    캠 장비    SLCD. 프렌드나 캐머롯 같은, 스프링 식 캐밍 장비.
Slime    슬라임     손이나 발이 홀드에 빠지는 것, 대개 그 후 추락하게 됨.
Sling    슬링     가늘고 둥근 모양의, 매우 강한 재질의 섬유로 만들어진 끈. 톱로프 설치 등의 여러 가지 상황에서 쓸모가 많음.

Slip Knot    슬립 매듭     위로 불룩 튀어나온 큰 홀드에 (chickenhead)  슬링을 감을 때 쓰이는 매듭. 조정하기 쉬움.

Sloper    흐르는 홀드    슬로우퍼. 테프론으로 코팅된 듯이 잡을데가 없는, 흐르는 홀드.
Smear    마찰력 홀드     마찰력을 이용해야 하는 작은 홀드. 대개 발 홀드.

Soloing    딘독 등반     혼자 등반하기. 확보를 위해 로프와 장비를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프리 솔로 (free solo) 참조.
Spanked    스팽크드     어떤 볼더 문제나 등반 루트에서 완전히 한방 먹는 것.
Sport Climb    스포츠 클라임     볼트가 만히 박혀 있고, 초크 자국도 많고 수많은 신축성 라이크라 옷을 입은 신세대 클라이머들이 등반하는 절멱 위에서의 등반 (대개 한 피치임).
Stack     스택    선등자가 묶어야 하는 끝이 위에 나와 있도록 로프를 잘 사려 놓기. 이렇게 해야 로프에 매듭이 안 생기고 엉키지 않아 로프를 원활하게 내줄 수 있다.
Stemning    스테밍    두 개의 홀드 사이에서 브릿징하기.

Sticht Plate    스틱 플레이트    구멍 두 개가 있는 평평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빌레이 장비 (belay device). 프란쯔 스틱의 이름에서 유래됨.

Take Up!    테익 업!    확보자에게 로프의 늘어진 부분을 잡아당겨 달라고 등반자가 표시하기 위해 외치는 신호.
Taking In!    테이킹 인!    선등자가 피치 꼭대기에서늘어진 로프를 위로 끌어 올린다고 알림을 표시하기 위해 하는 신호.
That’s Me!    대츠 미!    로프 끝에 있는 사람이 로프를 끌어 올리고 있는 사람에게 더 이상 끌어올리는 일을 안해도 됨을 알리는 신호.
Thrutching    스러칭     어중간한 크기의 크랙을 힘들게 올라가기. 손발 뿐 아니라 어깨와 히프를 사용하며 크랙 위로 자벌레처럼 꿈틀거리며 올라감.
Toe Jam    발가락 재밍      발 재밍 참조 (Foot Jam)
Top Rope    톱로프     루트 상단에 이미 앵커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등반하고 확보 보는 타입의 등반이며 로프가 클라이머에게서 그 앵커까지 갔다가 다시 확보자까지 내려온다.
Topo     개념도    루트의 간단한 그림. 좋은 개념도는 등반 선을 즉시 알아 보게 해주며, 볼트의 배치와 빌레이 앵커의 위치를 보여주고, 크럭스의 위치 그리고 등급을 표시한다.
Trad     전통식 등반    트랫. (캠, 너트 등의) 확보물을 크랙과 포켓에 설치함이 특징. 또한 전통식 등반에는 확보물 간의 거리가 가끔 긴 경우도 있는 여러 피치 루트도 포함된다.
Trad Fall    트랫 폴    전통식 등반 중의 추락으로서 때노는 중력의 유혹에 굴해 확보물이 퍽 하고 빠지는 소리가 동반하기도 함.

크레이터(crater)와 스크리머 screamer)도 참조.
Traverse    트래버스    수평 방향으로 등반하기.
Twist    트위스트    몸을 벽쪽으로 비틀어 역학점 이점을 활용하는 자세. 당기는 손과 대각선 방향의 발은 아웃사이드 엣징을 하게 된다.

Undercling    언더클링    튀어나온 곳 밑에 감추어진 바위나 크랙이나 어떤 바위 표면을 잡아야 하는 홀드. 손바닥이 위를 향함.

Walrus    월러스    해변에 올라온 고래화 비슷한 동작, 즉,  바위 턱 위로 해마처럼 움직이는 것.
Watch me    워치 미    등반자가 뭔가 어리석은 일을 할 것이라고 나타내려고 소리치는 것.
Water Knot    워터 놋    “링 벤드” (ring bend) 또는 “되감기 오버핸드” (“retracted overhand”)라고도  한다. 웨빙 묶을 때 선호되는 매듭.

Way Honed    웨이 혼드    완벽한 체형을 가진 클라이머를 묘사할 때 쓰임.
Whipper    휘퍼    선등하다가 위에서부터 마지막 클립한 곳 옆으로 추락하는 것인데, 채찍처럼 아래로 원호를 휙 그으며 떨어짐.
Wired    와이어드    동작을 아주 많이 연습해서 근육 기억 속에 동작의 ‘회로가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는” 경우, 즉 철저히 입력됐음을 말함. ” hardwired”라는 식으로 쓰임.
Woodie    우디    집에서 수작업으로 만든 등반 벽.
Yellowpoint    옐로우 포인트     “추락 없이” 톱 로프로 완등하기 또는 너무 무서워서 오줌 싸게 되고 난처한 일이 생기는 등반.
Yo-yoing    요요잉    로프에 매달린 채 반복적으로 추락하기. 또는 폭이 어중간한 ;어프뒤드’ 크랙에서 두 개의 확보 장비에서 ‘요요잉’ 하며 올라가기를 말하기도 함.
Zipper    지퍼    추락 중에 여러 개의 확보물이 차례로 뜯어져 어져 나가는 것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 20일-출국9일째

맑음 영하3도
낭가 산 중턱에 구름이 쫘~악.
어제 새벽 정상부위에 버섯구름,역시나 하늘이 흐리다.
현지인들 이야기에 의하면 날씨가 4일 주기를 보인다는데 오늘이 좋은 4일이 지나고 나쁜 날씨의 4일이 시작된다고 했는데 정상부위가 종일 보이지 않았다.
새벽 4시 기상해서 식사후 BC까지 짐수송에 들어갔다.
짐을 꾸리다 보면 어쩔수 없이 표준 규격인 25KG를 초과하는 일이 생기는데 가령 발전기나 몇몇 분리할수 없는 장비들 그래서 편법으로 2000루피에 44KG 1개,1600루피에 30KG 5개를 보냈다.
덩어리가 25KG를 넘지 않는것은 모아모아 한바리를 만드는 것도 중요.
꾸역꾸역 몰려드는 포터들,지난밤 꿈속에서 모든 포터들이 전부 하나같이 짐무게가 25KG인지 달자고해서 잠을 설쳤는데 120개의 짐에 그보다 훨씬 많은 포터들이 와서 짐을 서로 차지 하기 위해 다투는 통에 한명도 달지 않았다.
120개의 짐을 일일이 전부 확인 한다고 해보라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고 또 그결과가 25KG이 넘으면 빼달라고 난리를 피우는데 난감함이 말로 표현할수 없다.
너무 많은 수의 포터들이 와서 그들 사이에 짐을 놓고 주먹다짐과 고성이 2시간 20분동안 떠나지 않았다.
옆에 큰 동네에서 경찰관이 왔음에도 현실법보다 관습법에 엄정 지배를 받는 이곳에서 경찰관은 별무소용이다.
그래서 짐을 다섯개 늘려 달랬다.
우평,현수,창호형이 선발대로 트레킹단과 먼저 05:00 떠나고 나는 뒷정리를 하고 07:40분 출발했다.
맨뒤에서 포터들을 몰고 가려는데 산 정상부의 날씨가 심상치 않아 서둘러 제일 먼저 BC에 도착하니 어수선하고 경황없다.(11:30)
짐을 식량,연료,등반구 등등으로 구분해서 포터들에게 내리게 지시하고 임금주는 곳을 가이드 라인쳤다.
속속 도착하는 대원들과 메인텐트 3동,개인텐트 3동 완성하고 고소증세를 보인 이현길 부단장을 위해 마중내보낸 우평,상훈과 모든 사람이 도착한 시간 17:20

*중요사항
1.포터관리:초반에 기선을 제압하지 않으면 사사건건 시비에 말썽이다.
루팔 베이스까지는 하루 일정밖에 걸리지 않아 문제를 일으켜도 크게 악화되지 않지만 발토르 빙하쪽의 K2나 브로드 피크,네팔의 마칼루나 칸첸중가 처럼 카라반이 10일이상 걸리는 곳에서는 등반의 성패를 좌우한다.그들은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칼과총도 서슴없이 꺼낸다.
1)계약을 확실히 한다.
2)사다와 쿡,셀파들을 확실히 내사람으로 만든다.
3)등반대원의 경력을 보인다.

2.막영지에 대원이 먼저 도착해서 짐을 구분해서 내려놓게 한다.확실 하게 지시하고 감독할것
1)이를 등한시 하면 지친몸을 이끌고 대원들이 식량은 식량대로 장비는 장비대로 전부 새로 옮겨 구분해 놓아야 하는데 이짓을 10일동안 계속한다고 생각하면 원정의 즐거움이 반감한다.
2)구분의 장점은 한두가지가 아닌데 물건을 쉽게 찾을수 있다는 것
작은 소품 하나를 찾기 위해 100개 이상의 잘 팩킹된 짐을 뜯고 새로 싸는 愚를 방지할수 있다.

3.중복해서 임금을 지불하지 않기 위해서 반드시 짐을 먼저 받고 돈을 주도록, 떼거지로 몰려 다니면 누가 짐을 지고 왔는지 알수 없고
한번 더 달라고 해도 쉬이 가릴수 없다.

4.베이스에 도착하면
1)죽을라 하지 않는 대원들은 모두 일을 시켜라
끊임없이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고소 적응의 지름길

Categories
산에 다닌다는 것 산이야기

14좌 뜻

14좌와 그 산이름이 뜻하는것

1. 에베레스트(Everest ) 8,848 네팔/중국
2. 케이투(K2) 8,611 파키스탄/중국
3. 캉첸중가(Kangchenjunga) 8,586 네팔/인도
4. 로체(Lhotse) 8,511 네팔/중국
*얄룽캉(Yalung Kang) 8,505 네팔

5. 마칼루(Makalu) 8,463 네팔/중국
*로체샤르(Lhotse Shar) 8,400 네팔/중국

6. 초오유(Cho Oyu) 8,201 네팔/중국
7. 다울라기리(Dhaulagiri) 8,167 네팔
8. 마나슬루(Manaslu) 8,163 네팔
9. 낭가파르밧(Nanga Parbat) 8,125 파키스탄
10. 안나푸르나(Annapurna) 8,091 네팔
11. 가셔브룸1봉(GasherbrumⅠ) 8,068 파키스탄/중국
12. 브로드피크(Broad Peak) 8,047 파키스탄/중국
13. 가셔브룸2봉(Gasherbrum Ⅱ) 8,035 파키스탄/중국
14. 시샤팡마(Shisha Pangma) 8,012 중국

에베레스트=초모룽마=사가르마타

영국의 측량국장 워의 제창으로 전임자 에베레스트의 공적을 기려 마운트 에베레스트라고 명명되었다.
티베트에서 옛부터 초모룽마(Chomo Lungma:세계의 어머니신母神)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중국은 쭈무랑마[珠穆朗瑪] 이외의 명칭을 인정하지 않으며, 네팔에서는 사가르마타(Sagarmatha)라 부른다. ‘사가르마타’는 ‘우주 만물의 어머니'(Mother of the Universe)라는 뜻이다.

K2
1856년 인도 측량국의 영국 공병장교 몽고메리가 카슈미르에서 바라본 카라코람의 고봉을 순차적으로 K1, K2,…K32까지 기록한 데서 ‘K2’라는 별칭이 붙었으며, 이는 카라코람의 2호라는 뜻이다. 몽고메리의 이름을 따 몽고메리산이라고 하기도 했다.

1861년 고드윈오스턴(고드윈오스틴)이 발토로 빙하를 발견한 후 처음으로 K2에 접근한 업적을 기념하여 고드윈오스틴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원래 토속명(土俗名)으로는 답상(Dapsang), 또는 초고리(Chogori)이다.
초고리는 발티어로 ‘큰 산’이라는 뜻인데, ‘초고’는 ‘크다’라는 뜻이고 ‘리’는 ‘산’을 뜻한다.

‘하늘의 절대군주’라는 별칭도 있다.

칸첸중가
티베트어로 눈이란 뜻의’캉(Kang)’, 크다란 의미의 ‘첸(Chen)’, 보고(寶庫)란 뜻의 ‘주(Ju), 그리고 다섯이란 뜻의 ‘은가(Nga)’가 합쳐진 말이다.

따라서 ‘5개의 큰 눈의 보고’, ‘5개의 보물 눈봉우리산’, ‘흰눈으로 이루어진 다섯 개의 보물창고’, ‘위대한 눈의 다섯 보고(寶庫)’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로체

티베트어로 ‘남쪽’. 에베레스트의 남쪽 봉우리라는 뜻.

얄룽캉(칸첸중가 서봉)

이 봉우리에 대한 뜻 설명은 현재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칸첸중가와 마찬가지로 ‘캉’은 ‘눈’을 뜻한다.

마칼루

산스크리트어로 ‘검은 귀신'(마카하라=검은 신)

로체샤르(로체 동봉)

‘로체’는 남쪽, ‘샤르’는 ‘동쪽’을 뜻한다.

따라서 ‘남쪽의 동쪽’, ‘남동쪽 봉우리’를 뜻한다.

초오유
산스크리트(Sanscrit)어의 복합어로서 ‘초’는 신성(神性)을 뜻하는 말이며 ‘오’는 여성을 뜻하는 어미(語尾)로, ‘초오’는 여신(女神)이라는 뜻이다. ‘오유’의 ‘유’는 터키옥(玉)을 의미한다. 즉 ‘초오유’는 ‘터키보석의 여신’ 또는 ‘청록 여신이 거처하는 산’이라는 뜻이 된다.

다울라기리
산스크리트어로 ‘Devanagiri’에서 비롯되었으며, ‘Dhavalagiri(다발라기리)’의 단축형으로, ‘Dhavala’는 ‘희다’는 뜻이고 ‘Giri’는 ‘산’이란 뜻이니 다울라기리는 ‘하얀 산’, ‘흰 산’을 의미한다.

마나슬루
산스크리트어로 ‘마음’, ‘정신’, ‘영혼’을 뜻하는 마나사 (manasa)와 토지를 의미하는 룽(Lung)의 합성어로 ‘영혼의 산’, ‘영혼의 나라’ 라는 뜻이다.
그래서 대략 ‘지혜(Intrllect)의 산’ 또는 ‘정신(Soul)이 깃든 산’이라고도 해석한다.

낭가파르밧
산스크리트어로 ‘Nanga’는 ‘벌거벗은’ 이라는 뜻이고 ‘Parbat’은 ‘산’이라는 뜻이다. 고로 ‘벌거벗은 산’이 된다.

서쪽에 사는 다르드계 주민들에 의해 불리고 있는 별칭인 디아 미르(Dia Mir)는 “산들의 왕” 또는 “혼령이 있는 산”이다.

안나푸르나

산스크리트 어로 ‘풍요의 여신’, ‘제공자’

가셔브룸1,2
티벳 방언인 발티어로 ‘아름답다’라는 ‘Rgasha’와 ‘산’이라는 ‘Brum’의 합성어로, ‘빛나는 벽’ 또는 ‘아름다운 산’이라는 뜻이다.

원래 ‘가셔브룸 Ⅳ’ 에 붙인 이름이었다. 발토르 빙하의 콩코르디아(Concordia)에서 쳐다보면 Ⅳ봉의 빙벽이 마치 빛나는 벽처럼 반짝여 보이기 때문이다. Ⅰ봉(Hidden Peak)과 Ⅳ봉과는 달리 가셔브룸Ⅱ에는 적당한 애칭이 없다.

브로드피크
발티어로 ‘넓은 눈의 산’이란 뜻을 지닌 팔첸 캉리(Falchen Kangri)가 있었으나 1892년 콘웨이가 이끄는 영국탐험대의 정찰 때 ‘폭 넓은 봉우리’란 뜻으로 현재의 이름 브로드(Broad) 피크(Peak)로 붙여졌다.
‘육중하고 험악한 괴물’이라는 별칭이 있다.

시샤팡마

티베트어로 ‘일기 변화가 심한 산’이라는 뜻이다.(산스크리트어라고도 함)
티베트인들에게는 ‘신의 거주지’라는 뜻의 고사인탄(Gosainthan)이란 이름으로도 불린다.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19일-출국 8일

맑음 최고 영상 11도 최저 영하1도(5:20)

아침에 눈을 뜨니 이현길 부단장 얼굴이 두배 되었다.
진짜 술한잔 하고 ‘받아’부렀는 갑다.
그래서 손길 바빠진 의료담당 형준이

08:00 아침식사후 창호형과 정찰을 나갔다.
4km까진 눈이 녹아 흐르는 진창길이 이어지다 이후 눈길
다행히 사람흔적이 BC까지 이어지는 것 같다.
잉글랜드 아줌마 2명이 낭가 라운드 트레킹을 왔는데 윗쪽에 눈이많이 쌓여 걱정이 많아 보인다.
빨레를 하는 현지 여자아이들을 카메라에 담으려 하는데 절대 사양한다.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면서 멀리서 한컷 찍는 창호형
13:30 모두 모여 있는 호텔(낭가파르밧)에 복귀하니 양배추를 삶아 된장국을 준비해 두어 맛나게 먹고 저녁은 박정갑 부단장이 양을 잡아 포식했다.

원정대가 들어오니 타르싱마을이 동네 대목 맞은 듯 하다.
지역유지들인 포터 대표들이 가격을 턱없이 불러놓구 시작한다.
어제 우리가 예상한 가격이 800부터 시작하는 것인데 그들은 1500루피를 부른다. 이곳 마을학교에 기부한 보람도 없이 협상이 험난하다.
물건을 줄이고 줄여 120개를 1400루피에 합의 보았다.
30개를 차후에 올리기로 결정하고 일단 바로 필요한 물품 위주로 짐을 꾸렀다.
한국에서 출발할때 부터 짐을 전통적인 방식(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융통성이 결여된)으로 꾸려 불필요한 것들을 많이 가져 왔다.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 18일-출국7일째

맑음 영상30도 최저 영상 5도(22:00)
아침부터 짐 체크하는 대장님.
현수가 05:20분 부랴부랴 뒤에서 짐싣고 오느 차를 찾아 아랫마을로 나선다.
09:20 일단 노동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트레킹단을 모시고 차로 1시간 30분 거리에 있다는 타르싱 마을로 출발 했다.
주위로 보이는 70년대 한국 풍경, 소가 밭을 갈고 동네 아이들은 미군에게 우리가 그랬듯 손을 뻗어 구걸한다.
한번에 꺽을수 없는 커브길을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해서 돌린다.
도중에 시동이 꺼지면 뒤에 메달려 오는 현지인이 잽싸게 내려서 바퀴에 돌을 궤어 차가 벼랑으로 구르는걸 막는다.
원정대의 첫차인 관계로 운전사는 들르는 마을 마다 전령사 노릇을 하며 한시라도 빨리 본대에 길상태을 알려야 하는 내맘 철저히 몰라준다.
더불어 차까지 말썽,시동 꺼지는 것이 다반사다.
“우리한테 똥차를 주었는 가벼” 다들 한마디씩 하는중 눈사태가 길을 덥친 지역에 도달해 못간다는 운전사 달래고 돈 안준다 겁주고 하여 시도 했으나 역시나 차하부가 눈에 받혀 빼도 박도 못하는 사태에 설상가상으로 차도 퍼져 버렸다.
짐을 내려 무게를 더고 현지인까지 차 앞뒤로 붙어 밀고 당겨 차를 빼니 본대 짚차가 하나둘씩 도착한다.
성질급한 대장님 역시나 젤 먼저 내려 말도 없이 돌을 나른다.
영~심기가 좋지 않은듯 “여기다 짐을 퍼버리면 어쩌자는 것이여” 일침을 놓으신다. 뭔가 안좋은 일이 있음에 틀림없다.
16:00까지 눈에 돌을 박아가며 현지인 달래고 앞에서 당기고 뒤에서 밀어 겨우 눈사태지역 150m 통과.
2900m에서 점심 거르고 빡세게 힘을 썼다.
현수 “아침에 형은 일찍 출발한 것이 다행이랑께”란 말로 아침 분위기를 압축해서 전한다.
역시나 저녁후 미팅때 “우왕좌왕’맡은바 임무 철저히 하자,다같이 하자,우리끼리 침 뱉지 말자.’ 등등 말들 오갔다.

전체 미팅
대장:맡은바 임무에 소홀함이 있다.
어수선하다.저녁식사시 김치나 고추장이 있으면 훨씬 맛나게   먹을수 있는데 아쉽다.
장비; 연료로 등유 6통 휘발유 5통 가스 大2,小2 준비 했다.
수송:카고백 25,담프라 박스 84개
행정:포터임금을 800루피 부터 시작 하겠다.

단장:일사분란함이 부족, 힘든일 할때 다 같이 하자
이현길 부단장: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 여기까지 와서 나몰라라 먼저 가버리면 어쩌자는 것이여 오늘저녁 술먹고 받아 부러야 겄다.(짚차 끌을때 먼저 간 몇몇사람을 보며)

*중론:수송에 미비점이 있다.
미팅시간을 갖자.
*기타:1)남수형 고소 증세가 있다.
2) 내일 08:00 고소적응을 위해 주위 산책하기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 17일-출국6일째

맑음 최고 기온 32도 최저 9도
여전히 잠자리가 불편하고 꿈자리 뒤숭숭하다.
남수형 다섯시부터 일어나 설친다.천생 부지런한 사람이다.(그러니 살이 찔 틈이 없지)
조석으로 쌀쌀 하나 낮에는 30도를 훌쩍 넘는다.
그래도 건조해 한국에서처럼 후덥지건 하진 않다. 하지만 안구건조증
이 있는 난 죽을 맛이다. 종일 눈을 감고 있어도 뻑뻑한 기운 가시지 않는다.
삶과 죽음이 내뜻과 무관한 곳에서 내 삶은 순전히 운전사에게 가장 크게 의지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神 ‘카라코람 하이웨이’에서 우리 서해안 고속도로를 상상 하는건 오버
오른쪽으로 천길 낭떠러지 계곡물이 흐르고 왼쪽으로 만장 단애에서 언제 바위가 떨어질지 모른다.
광활한 삭막함이 지배하는 낭가파르밧 가는길 비슷비슷한 풍경이 이어지지만 지루하지 않다.
500루피 팁을 받은 운전수 자머(FARZAMER)는 최고의 운전 솜씨를 자랑하며 차을 모는데 흠이 있다면 옆에서 말을 걸면 고개를 대화상대에게 돌리고 얘기한다는것 그럴때마다 모두 철렁하는데 우리 병찬형 온갖눈치와 압박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말을 건다.

*.1)발전기용 휘발유구입:117리터를 리터당 45.53루피 토탈 5327루피
대행사료 1000달러 지급
2)08:00 출발하여 오후 2시에 점심을 먹고 줄곧달려 20시 30분에 해발(2150M)의 아스토르 마을 도착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 16일

출국 5일째
05:55 트레킹단 6명이 대원들과 같이 산에 들어가기위해 들어왔다.
(류재선단장,최창돈고문,이현길부단자외3인)
어째 꿈자리가 뒤숭숭하다.
돌아가신후 생전 보이지 않던 셋째형과 어린 조타가 보이고
미국 이민간 사촌동생과 아버지 까지
울퉁불퉁한 방바닥과 부실한 외벽을 가진 허름한 자취방 수리비로 100만원을 달라고 해 난 안된다고 했는데 동생이 하자고해 결국 그이 의견대로 고쳤다.
08:30 버스를 개조한 짐차(파키스탄에서 원정대 짐을 수송하는데 많이 쓰인다)가 도착해 짐을 싣고 10시 30분 드뎌 민박집을 떠나 출발
23시 국영 PTDC 모텔에 도착 방하나에 40.000원이상 주고 잤다.
그들 물가를 생각하면 국내 별 다섯개 호텔쯤 되리라.
참고로 다섯개급 호텔이 이슬라마바드에서 한사람당 60~70달러쯤 한다.
병찬형 남수형 우평 그리고 내가 한방에서 자는데 역시나 우리 부지런덩이 남수형은 잠이 없다.

*기타: 99년 K2원정대는 대원 18명과 포터 256명이 나르는 짐으로 구성
2000년 원정대는 대원 11명과 216명의 포터
2005년 루팔 원정대는 대원 12명과 포터?

Categories
낭가파르밧 루팔벽 등반기

4월 15일

아침 6시부터 축구장을 찾아 이슬라마드 시내를 헤집고 다녔으나 찾지 못하고 민박집에 돌아와 남강주유소에 근무하는 남강파와 금강전력에서 주로 머무르는 금강파가 나뉘어서 시합을 했다.
식사후 윗분들은 불교유적지와 박물관이 있는 덱실라로 구경을 떠나고 아랫것들은 시내 쇼핑을 나가 지도구입및 트레킹 책을 샀다.
점심은 정부 연락관인 알리 집에 초대 받아가서 대접을 받았다.
그는 97년 원정대때에도 연락관으로 일을해 대장과 형근 주영형을 잘 알고있었다. 올해 32살인데 벌써 네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
멍석이 깔린 컴컴한 방에서 그들가족이 정성들여 차린 음식(닭커리,짜파티,달)을 맛나게 먹었다.
여자들의 삶도 보고 싶었는데 탈레반 스타일이라고 꼭 꼭 숨겨두어 나올때 겨우 두건으로 감싼 얼굴과 빼꼼이 보이는 눈만 보고 왔다.
오후엔 기어이 축구장을 찾아 광주거주파와 기타지역파가 동네축구스타일로 죽을둥 살둥 뛰어 훈련부족이라 항상 생각하는 대장님께 큰 기쁨을 흠뻑 주었다. 각각 한골씩 넣고 승부차기 끝에 기타 지역파가 1대0으로 이겼다.
운동효과 기분 모두 좋으나 부상위험이 크다.
주형형 나와 부딪혀 부상,난 골키퍼 보다 무릎이 까졌다.